|
1. 사고원인
|
| |
| ⓛ 가동곤란 |
|
1) 후드 밸브에 먼지나 모래 그밖의 이물로
막혀 있을 때
|
| 2) 흡입관의 측 이음으로부터 공기가 들어갈 때 |
| 3) 패킹으로 부터 공기가 들어갈 때 |
| 4) 모타 또는 그 부속품의 고장 |
| |
| ② 양수 불능 |
| 1) 흡입 양정이 너무 높을 때 |
| 2) 송출 양정이 너무 높을 때 |
| 3) 싸이클 저하에 의한 회전속도 부족 |
| 4) 임펠라 수로가 막혔을 때 |
| 5) 흡입 파이프 접합부 및 그랜드로 부터의 공기침입 |
| 6) 흡입 토출관내에 공기가 남아 있을 때 |
| 7) 스트레-나 흡입관이 막혔을 때 |
| 8) 역회전 |
| 9) 후드 밸브 불량 |
|
|
| ③ 수량의 감소 |
| 1) 회전차의 마모 |
| 2) 관마찰 손실의 증가 |
| 3) 흡입 양정이 높아서 공동 현상이 발생할 때 |
| 4) 캐비테이숀 또는 공기의 침입 |
|
5) 베아링의 마모 또는 임펠라 직경이 침식
또는
마모되어 적어진 경우
|
| 6) 임펠라 후드 밸드 스트레 나 등에 고형물의 부착 |
| |
|
| ④ 과부하 |
|
| 1) 싸이클의 과다 |
| 2) 양정이 심히 낮아져서 수량의 과대 |
| 3) 축류 펌프에서는 양정의 상승 또는 송출변의
개도 부족
|
| 4) 펌프와 전동기의 직결 불량 |
| 5) 전압강하 |
| 6) 액비중이 클 때 |
| 7) 액점도가 클 때 |
| 8) 회전부가 닿을 때 |
| 9) 그랜드 패킹을 자나치게 조였을 때 |
|
| 2. 대책 및 조치 |
| |
|
| ⓛ 가동곤란 |
|
| 1) 후드 밸브의 이물 제거 |
| 2) 흡입관 축이음의 밀봉 |
| 3) 패킹 점검 |
| 4) 모타 및 배선 점검 수리 |
| |
|
| ② 양수 불능 |
| 1) 펌프를 액면 가깝게 설치한다 |
| 2) 펌프 케이싱 내에 액을 충만시킬 것 |
| 3) 모타의 회전 속도를 점검한다. |
| 4) 막힌 오물을
제거 |
| 5) 접합부 패킹을 교환하여 새지 않도록 할 것 |
| 6) 배관을 고치든가 밴트를 만들어 줄것 |
| 7) 흐트레나 흡인구를 조사 수리할 것 |
| 8) 회전 방향을 점검할 것 |
| |
|
| ③ 수량의 감소 |
| 1) 임펠라와 카바 등을 신품으로 교체 |
| 2) 흡입관 점검 조정 |
| 3) 회전 싸이클 조사 조정 |
| 4) 공기의 침입개소를 조사하여 흡입축의 상태를 개선할 것 |
| 5) 베아링 교체 |
| 6) 내부를 열고 부착물을 제거 |
| |
|
| ④ 과부하 |
|
| 1) 싸이클 조정(모타 HZ 확인) |
| 2) 토출 밸브로 조정 |
| 3) 계획을 재검토 |
| 4) 펌프와 전동기의 직결상태 점검 |
| 5) 전압조절 |
| 6) 7) 비중과 점도 상승에 비례하여 동력조정 |
| 8) 분해하여 틈새 조정 |
| 9) 그랜드 패킹의 조임 상태를 점검 |
|